본문 바로가기

중국생활 팁

한중일 젓가락 도대체 왜 다르게 생겼을까?

https://youtu.be/IFqxCIiK7zI

한중일 3국은 비슷하지만 다른 식문화와 그에 맞는 젓가락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차이점을 간단히 알아보시죠.

 

쓸데 없지만 알아두면 유식해 보이는

중국 생활에 팁을 다루는 시간입니다



지난 첫 번째 편에서는 그 중국의 공안과 
경찰의 차이점을 알아봤는데요


반응이 폭발적이었죠?



오늘은 그 한중일 3국의 비슷하면서도 다른

젓가락의 생김새와 문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젓가락이 다른 점이 있어? 라고 생각 되시는 분들은 

영상을 끝까지 시청해주시면

어제보다 오늘 좀 더 유식해 보이는

백수로 거듭날 수 있을 겁니다



제가 그 제일 처음에 중국에 와서

중국 식당에 가서 밥을 먹는데

뭔가 어색한 거예요

처음에는 왠지 몰랐죠

내가 이제 새로운 음식을 먹어서 
그런가 보다 라고 생각을 했어요


근데 알고 보니 그게 아니었어요

바로 한국하고 다른 젓가락 때문이었는데요



중국에서는 기본적으로 밥을 먹을 때

우리 한국식 숟가락은 사용하지 않고

보통 젓가락으로 밥까지 다 먹거든요

국물 요리가 있을 때는 샤오즈라고 해서

조금만 숟가락을 주기도 하는데

보통은 젓가락 가지고

다 밥을 먹는다 라고 보시면 되고요

중국에서는 그리고 보통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된 젓가락을 많이 사용을 합니다

제가 오늘 중국 젓가락 2종을 
특별히 구매를 한번 해 봤습니다


집에 쓰던 젓가락이 다 되고 해서 겸사겸사



이게 나무젓가락 

그리고 중국은 나무 젓가락 외에도

플라스틱 젓가락도 많이 사용을 하거든요



이게 플라스틱 젓가락

우선은 나무 젓가락 한번 뜯어 볼까요

중국 젓가락이 한국 젓가락 하고 비교하면

길이도 좀 길고 굵직하죠 

젓가락 많이 생겼네



우선은 한쌍만 제가 이쪽에 두고요



다음 플라스틱 젓가락도 한번 열어 볼게요

이것도 한상만 꺼내면 

뭔가 중국 스럽죠

황금색 테두리로 되어있고 '福'자 새겨져 있구요

길이는 나무랑 플라스틱 두 개 다 비슷하고요

중국이 보통은 다른 나라에 비해서 

음식이 좀 기름지고

뜨거운 음식을 많이 먹거든요

그러니까 보통 기름이 잘 튀지 말라고

한국이나 일본보다 젓가락 길이가 
좀 더 길다 라고 하더라고요


보통은 이렇게 원탁에 여러 대식구가 모여 앉아서

음식을 같이 먹기 때문에

길이가 긴 게 아무래도 음식을 집기도 편하겠죠

원래는 대부분 이렇게 나무 젓가락을 중국에서 사용을 하다가

내구성이나 이런 게 플라스틱이 좀 더 좋겠죠

그래서 식당 같은데 가면 요즘 플라스틱을 많이 쓰더라고요

그래서 이렇게 저도 겸사겸사 두 개 다 사봤습니다

중국에서 많이 쓰는 젓가락이다 라고 보시면 되고

한국 젓가락은 어차피 집에 있으니까

제가 그대로 가져왔어요

이게 쇠 젓가락이 좋은게 굳이 바꿀 필요가 없잖아요

한번 사면 계속 쓸 수 있으니까

그게 제일 좋은 거 같아요

보시는 바와 같이 한국 젓가락의 

특징은 첫 번째 쇠로 만들어졌다는 거

그리고 끝이 납작한 편이죠

김치나 깻잎 같은 거 나물류들 많이 먹잖아요

그럴 때 이 끝이 납작한 게

잡기가 편하다 라고 하더라고요

찟고 잡고 하는 게

게다가 콩 같은 반찬 먹을 때도 이게 더 편하고

그래서 이렇게 납작한 형태로 발전을 했다 라고 하고

그럼 왜 하필 한국만 쇠로 만들었느냐? 젓가락을 

끝을 납작하게 만들기가 아무래도 
나무 보다 쇠가 쉽겠죠


그리고 한국이 쇠를 다루는 기술도 괜찮았데요 예전부터 

그렇게 해서 그게 발전이 되어왔다 라는 설이 있구요

게다가 또 한가지 썰이

예전에 왕이나 이 양반들이 인제

독극물 확인한다고 은수저를 많이 썼잖아요

그거를 보고 이제 일반 백성들도

은이랑 비교적 비슷한 쇠를 보편적되게 사용했다

이런 얘기도 있더라고요

하여튼 그런 식으로 하면서 한국만 독특하게 

쇠 젓가락을 쓰게 된 거 같아요

다음 

일본의 젓가락 입니다

사실 전부 중국 타오바오에서 사긴 했어요

근데 왠지 일식 젓가락은 조금 더 생긴 것도 좀 고급스럽지 않나요?

열어보면 이렇게 딱 돼 있네요

요렇게

일본의 젓가락 같은 경우도

보통은 다 나무로 이렇게 된 젓가락을 사용을 하고요

일본 젓가락의 특징은 이렇게 끝이 뾰족한게 특징이죠

길이도 비교적 한국이나 중국의 비해서는

길이도 좀 짧은 편이고요

일본 사람들이 밥 그릇을 들고

밥을 쓸어서 먹는 습관이 있다 라고 하더라고요

그렇게 밥을 쓸어 먹기가

젓가락이 짧은 게 아무래도 좀 편하겠죠

게다가 또 섬나라잖아요

이제 생선 요리들이 많으니까

생선을 발라 먹을 때

이렇게 끝이 뾰족한 것들이 가시를 발라 먹기가 편해서

이렇게 발달이 되었다고 하더라고요

이거는 중국 젓가락인데

근데 이 젓가락으로 생선을 먹으려면

가시를 발라내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이 일식 젓가락을 사용한다

좀 가볍고 끝이 뾰족 

가시를...

내가 젓가락질을 잘 못해요 여러분

그래서 일본 사람들은 이런 스타일의 젓가락을 많이 쓰고요

중국식, 한국식, 일식 

중식당이나 일식당 가셔서

식사 하실 때 나오는 젓가락들 자세히 한 번 보시고

그 차이점 한 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쓸데없지만 알아두면 좀 유식해 보일 것 같죠?



자 오늘의 음식은

김칫국, 생선을 확인 할 수 있는 고등어, 마라샹궈



우선은 중국식 젓가락을 이용해서

마라샹궈를 한 번 먹어 보겠습니다



이거는 중국 젓가락인데 플라스틱 젓가락이죠

묵직해요 느낌이



근데 굳이 젓가락 하나만 고르라고 하면 
난 일식 젓가락으로 밥 먹을거 같은데




사실 여러분 써보니까 큰 차이 없어 

집에 있는 거 아무거나 쓰시면 됩니다

굳이 따질 필요 없어요

아무도 안 따지고 있는거 아이가?